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지역 분석27

[고양시] 행정구역별 인구수와 부동산 (덕양구, 일산서구, 일산동구)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고양시의 인구수와 부동산 변화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고양시는 서울과의 접근성으로 인해 지속적인 수요가 있는 지역으로 서울까지의 출퇴근이 가능한 입지로 인해 지금도 계속해서 발전해 오고 있는 지역인데요, 행정구역별로 덕양구, 일산서구, 일산동구 인구수와 입주 물량, 미분양 물량 현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료 출처:국가통계포털 2024년 9월 집계 데이터, 부동산지인, 호갱노노 [ 목차 ] 1. 고양시 인구수 변화 국가통계포털 사이트에서 2024년 9월에 집계된 경기도 고양시 총 인구수는 1,071,434명입니다.(2024년 8월 기준 고양시 인구수 1,071,560명)   인구수 변화 요인고양시 인구수는 2020년까지 매년 평균1.5%에 가까운 상승률을 보여왔습니다. 그러나 .. 2024. 10. 8.
[용인시]인구수 증가와 부동산 변화(기흥구, 수지구, 처인구) 경기도 용인시의 인구수는 2000년대 후반 이후 계속해서 증가해 왔습니다. 용인시에서 인구수가 가장 많은 기흥구, 부동산 가격이 가장 비싼 수지구, 최근 입주 물량이 가장 많은 처인구에 대해 인구 변화와 입주 물량, 미분양 물량 현황을 통해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료 출처:국가통계포털 2024년 9월 데이터 업데이트, 부동산지인, 호갱노노 [ 목차 ] 1. 용인시 인구수 변화 국가통계포털 에서 2024년 9월에 집계한 용인시 총 인구수는 1,084,817명입니다.(2024년 8월 기준 수원시 인구수 1,084,021명)   인구 변화 요인용인시 인구는 계속해서 증가해 왔습니다. 2010년도 약 88만명이었던 용인시 인구수는 현재 110만명에 가까운 인구로 성장해 왔습니다... 2024. 10. 8.
[수원시] 인구수 정체 현상과 부동산 시장(권선구, 영통구, 장안구, 팔달구) 수원시 인구수는 약 120만명입니다. 현재 서울특별시와 각각의 광역시 다음으로 인구수가 가장 많은 도시가 바로 경기도 수원시입니다. 수원시 인구수 순위 1위 권선구, 2위 영통구, 3위 장안구, 4위 팔달구 인구는 어떻게 변했는지 살펴보고 입주 물량과 미분양 현황 분석을 통해 부동산 시장 전망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자료 출처:국가통계포털 2024년 9월 데이터 업데이트, 부동산지인, 호갱노노 [ 목차 ] 1. 수원시 인구수 변화 국가통계포털에서 2024년 9월 집계한 수원시 총 인구수는 1,195,045명입니다.(2024년 8월 기준 수원시 인구수 1,196,310명)   인구 변화 요인수원시 인구는 2014년을 기점으로 증가율이 서서히 떨어지다가 최근에는 정체된 상황으로 보여집니다. 특히 2014년도에.. 2024. 10. 8.
[울산광역시]부동산 현황과 인구수 순위(1위 남구, 2위 울주군, 3위 북구) 울산광역시 인구수 변화를 통해 부동산 시장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울산광역시 인구수 순위 1위 남구부터 2위 울주군, 3위 북구까지의 인구를 살펴보고 각 지역의 입주 물량과 미분양 물량 현황의 변화를 통해 부동산 시장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인구수 감소 요인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자료 출처:국가통계포털 2024년 9월 집계 데이터 업데이트, 부동산지인, 호갱노노 [ 목차 ] 1. 울산시 인구수 변화 국가통계포털 2024년 9월 집계 데이터 상의 울산광역시 총 인구수는 1,098,728명입니다.(2024년 8월 기준 울산광역시 인구수 1,099,231명)   인구 변화 요인울산광역시의 인구는 2016년을 기점으로 증가해오던 추세가 감소 추세로 변하게 되었습니다. 그 요인으로 울산은 현대.. 2024. 10. 8.